오랜만에 잊고 있었던 사이트 w3schools를 찾았다.
html, xml, 브라우저, server언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직접 소스를 테스트 해볼 수 있는 테스트페이지가 존재한다.
http://www.w3schools.com/
http://whiteship.tistory.com/1004에 가면 많은부분 번역해주신분이 있다.
오랜만에 잊고 있었던 사이트 w3schools를 찾았다.
html, xml, 브라우저, server언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직접 소스를 테스트 해볼 수 있는 테스트페이지가 존재한다.
http://www.w3schools.com/
http://whiteship.tistory.com/1004에 가면 많은부분 번역해주신분이 있다.
일반 리눅스에서 어떤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ssh를 연결하려고 하면,
계속 접속 하겠냐고 (yes/no)를 묻는 화면이 나온다
yes를 선택하면
ssh client계정의 ~/.ssh/known_hosts에 원격 서버의 고유 해쉬 값을 저장하게 된다.
만약 서버의 host key가 바꼇을 경우, 기존에 로컬에 보유하고 있던 public key로는 접속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럴때에는 public key를 새로 받아야 하는데 기존의 키를 삭제 하지 않으면 새로 받아지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ssh/known_hosts 파일을 수정해야한다.
윈도우에서 ssh접속할때 쓰는 Putty의 경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