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 "{{ 변수명 }}" 으로 변수를 선언 할수 있다.

 

 

---
-  name: ping test
   hosts: all
   gather_facts: false
   tasks:
   - name: ping
     ping:
  • name: 작업을 설명하는 내용 작성 (생략가능)
  • hosts: 작업을 실행할 곳 (inventory 내의 hosts)
  • gather_facts: 작업시작전 host 자원정보 사전 수집이라고 보면될듯(default로 동작하지만 false로 실행을 많이 하는것 같음)
  • tasks: 작업목록
    • 모든 tasks는 name을 가지고 있어야함
    • 하나의 task는 하나의 모듈만 실행가능
    • 여러개의 tasks로 구성이 가능하며 순차적으로 실행됨

 

---
- hosts: all
  remote_user: root
  tasks:
  - name: store file to remote server
    copy:
      src: "/tmp/{{ item }}"
      dest: /tmp/
    with_items:
       - a.txt
       - b.txt
       - c.txt
  • copy 모듈
    • src: 복사할 파일의 출발지 경로 및 파일명
    • dest: 복사할 파일의 목적지 경로 및 파일명
    • backup: 기존파일을 백업
    • owner: 파일의 소유자 권한 수정
    • group: 파일의 그룹 권한 수정
    • mode: 파일의 퍼미션 수정
  • with_items 모듈
    • 여러가지 파일의 copy가 필요한 경우 사용

 

- name: Test Fetch
  hosts: {{ RemoteServer }}
  remote_user: ubuntu
  tasks:
    - name: Copying files from remote server
      fetch:
        src: "/path/to/RemoteServerFilePath"
        dest: "/path/to/localhostPath"
  • fetch 모듈
    • src: 복사할 파일의 remote server 경로 및 파일명
    • dest: 복사할 파일의 로컬 경로

 

  - name: execute a shell script on a remote server
    script: /tmp/ABC.sh
  •  script 모듈
    • shell script 실행

'프로그래밍 > Ans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ventory  (0) 2022.01.05
ansible.cfg 설정  (0) 2022.01.05
Ansible-Playbook 명령어 옵션 정리  (0) 2022.01.05

개인정보보호법 vs 정보통신망법 vs 신용정보보호법 비교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보호법
행정규칙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 표준 개인정보 보호 지침

- 개인정보의 암호화조치 안내서

- 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기준

- 정보보호 사전점검에 관한 고시

- 기술적 물리적 관리적 보안대책 마련 기준

-신용정보 제공 계약에 포함될 신용정보 보안관리대책

-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법 수검자 명칭 개인정보처리자(공공기관, 법인, 단체, 사업자, 개인 등)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기업, 포털, 전자화폐거래서, 인터넷쇼핑몰, 방송 등을 이용한 전기통신사업법상의 전기통신사업자 및 정보제공하는자) 신용정보제공이용자(은행권, 증권, 보험, 카드, 대부, 협동조합, 공공기관 등)
개인정보의 범위 살아있는 개인에 대한 정보로서 다른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의 식별되는 정보를 포함 살아있는 개인에 대한 정보로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영상 등의 정보

개인신용정보도 포함됨

가. 특정 신용정보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나. 신용정보주체의 거래 내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다. 신용정보주체의 신용도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라. 신용정보주체의 신용거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개인정보 이용내역 통지

수집시 이용동의를 받았으면 정기적으로 통지하지 않음

단, 연2회이상 정보주체이외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경우는 어디에서 왜 수집하였는지 연1회 이상 통지

무조건 연1회 이상 개인정보 이용내역 통지  
암호화

주민등록번호는 무조건 암호화

그외의 고유식별정보는 암호화 적용등을 하여야함

 

단, 개인정보 보유량에 따라 완화 적용 있음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바이오정보 모두 암호화  
수집 이용 동의 규정

1. 이용동의

2. 3자제공동의

3. 민감정보 동의

4. 고유식별정보 동의

 

별도로 구분하고 동의를 받아야한다.

 

※ 처리 위탁에 대해서 동의는 없으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현황 명시

처리 위탁시 개인정보의 수집동의와는 별개로 구분하여 받아야함(제24조의 2)  

'정보보안 > 개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안내서  (0) 2019.08.26

개인정보 영향평가 관련 자료는 개인정보종합포털(https://www.privacy.go.kr) 자료실에 있으며

2018년 4월 23일에 배포된 수행안내서가 가장 최신이다.

 

전체 평가 영역은 아래와 같다

 

1. 대상기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 개인정보보호 조직

  - 개인정보보호 계획

  - 개인정보 침해대응

  - 정보주체 권리보장

2. 대상시스템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 개인정보취급자 관리

  - 개인정보파일 관리

  - 개인정보처리방침

3. 개인정보 처리단계별 보호조치

  - 수집

  - 보유

  - 이용 및 제공

  - 위탁

  - 파기

4. 대상시스템 기술적 보호조치

  - 접근권한 관리

  - 접근통제

  - 개인정보의 암호화

  - 접속기록의 보관 및 점검

  - 악성프로그램 방지 등

  - 물리적 접근방지

  - 개인정보의 파기

  - 기타 기술적 보호조치

  - 개인정보처리구역보호

5. 특정IT 기술 활용 시 개인정보보호

  - CCTV

  - RFID

  - 바이오정보

  - 위치정보

'정보보안 > 개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 차이  (0) 2019.08.26

+ Recent posts